본문 바로가기
알고리즘/백준

알고리즘(C++) / 백준 1946 : 신입 사원

by clean_h 2021. 3. 7.
728x90

1946

www.acmicpc.net/problem/1946

 

1946번: 신입 사원

첫째 줄에는 테스트 케이스의 개수 T(1 ≤ T ≤ 20)가 주어진다. 각 테스트 케이스의 첫째 줄에 지원자의 숫자 N(1 ≤ N ≤ 100,000)이 주어진다. 둘째 줄부터 N개 줄에는 각각의 지원자의 서류심사 성

www.acmicpc.net

 

문제

언제나 최고만을 지향하는 굴지의 대기업 진영 주식회사가 신규 사원 채용을 실시한다. 인재 선발 시험은 1차 서류심사와 2차 면접시험으로 이루어진다. 최고만을 지향한다는 기업의 이념에 따라 그들은 최고의 인재들만을 사원으로 선발하고 싶어 한다.

그래서 진영 주식회사는, 다른 모든 지원자와 비교했을 때 서류심사 성적과 면접시험 성적 중 적어도 하나가 다른 지원자보다 떨어지지 않는 자만 선발한다는 원칙을 세웠다. 즉, 어떤 지원자 A의 성적이 다른 어떤 지원자 B의 성적에 비해 서류 심사 결과와 면접 성적이 모두 떨어진다면 A는 결코 선발되지 않는다.

이러한 조건을 만족시키면서, 진영 주식회사가 이번 신규 사원 채용에서 선발할 수 있는 신입사원의 최대 인원수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는 테스트 케이스의 개수 T(1 ≤ T ≤ 20)가 주어진다. 각 테스트 케이스의 첫째 줄에 지원자의 숫자 N(1 ≤ N ≤ 100,000)이 주어진다. 둘째 줄부터 N개 줄에는 각각의 지원자의 서류심사 성적, 면접 성적의 순위가 공백을 사이에 두고 한 줄에 주어진다. 두 성적 순위는 모두 1위부터 N위까지 동석차 없이 결정된다고 가정한다.

 

출력

각 테스트 케이스에 대해서 진영 주식회사가 선발할 수 있는 신입사원의 최대 인원수를 한 줄에 하나씩 출력한다.

 

문제 이해

A지원자보다 B지원자가 서류심사 성적과 면접시험 성적이 모두 낮으면 채용되지 않는다.

3 6
7 3
4 2
1 4
5 7
2 5
6 1

다음과 같은 입력이 주어졌을 때 채용되는 사람은 <1,4>, <4,2>, <6,1> 성적을 가진 지원자이다. 

<3, 6> 성적을 가진 지원자는 <1,4> 성적을 가진 지원자보다 두 부분 모두 순위가 낮기 때문에 채용되지 못한다.

각 성적에서 1등을 한 사람들은 무조건 뽑힌다고 보면된다.

 

코드

//1946 신입사원
#include <iostream>
#include <vector>
#include <algorithm>
using namespace std;

int main() {
	int T, N;

	cin >> T;
	
	for (int j = 0; j < T; j++) {
		cin >> N;

		vector <pair<int, int>> grade;
		pair<int, int> p;

		for (int i = 0; i < N; i++) {
			cin >> p.first >> p.second;
			grade.push_back(p);
		}

		sort(grade.begin(), grade.end()); //오름차순으로 정렬

		int a, b = 0;
		int pick = 0;

		a = grade[0].first;
		b = grade[0].second;
		pick++;

		for (int i = 1; i < N; i++) {
			if (b > grade[i].second) {
				pick++;
				b = grade[i].second;
			}
		}

		cout << pick << endl;

	}

	return 0;
}

 

설명

몇번의 테스트를 진행할 것인지 T를 입력받아 반복한다.

N을 입력받아 각 지원자의 서류심사 성적과 면접 성적의 순위를 입력받는다. 이때 지원자의 성적은 pair로 쌍을 이루어 grade에 저장되어있다. 

sort함수를 이용하여 지원자들의 서류심사 성적을 오름차순으로 정렬한다. 오름차순으로 정렬하면, 서류심사 성적은 오름차순으로 정렬되어있으므로 무조건 다음 지원자가 순위가 낮아지게 정렬된다. 그래서 면접 성적의 순위만 확인하여 채용할 인원을 구할 수 있다. 

각 a와 b에 서류심사 순위가 가장 높은 지원자의 서류심사 성적과 면접 성적 순위가 저장한다.(여기서, a는 사용되지 않으므로 굳이 저장할필요는 없다.) 서류심사 순위가 가장 높은 사람은 무조건 채용되므로 pick++을 해준다. 그 후 서류 심사 성적으로 정렬된 grade 순서대로 확인하면서 b보다 순위가 높은 사람은 채용된다. 이때 b가 업데이트 된다. 업데이트 된 b와 차례대로 확인하며 채용할사람들을 뽑는다.

 

예를들어 지원자들의 순위가 다음과 같다면

3 6
7 3
4 2
1 4
5 7
2 5
6 1

서류 심사로 정렬된 grade는 다음과 같다.

1 4
2 5
3 6
4 2
5 7
6 1

초기 b는 4이다. if를 만족하는 지원자는 <4 ,2>이므로 pick을 증가하고 b를 2로 업데이트 해준다. 

그러므로 여기서 채용되는 지원자는 <1,4>, <4,2>, <6,1> 성적을 가진 지원자이다. 

 

결과

 

 

고찰

코드는 짧게 끝났지만, 해결방법이 바로 떠오르지는 않았다.

일단 한단계씩 생각하면서 문제 해결 방법을 찾아나갔다.

일단, 문제를 더 많이 풀어봐야할 것 같다.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