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44
2644번: 촌수계산
사람들은 1, 2, 3, …, n (1≤n≤100)의 연속된 번호로 각각 표시된다. 입력 파일의 첫째 줄에는 전체 사람의 수 n이 주어지고, 둘째 줄에는 촌수를 계산해야 하는 서로 다른 두 사람의 번호가 주어진
www.acmicpc.net
문제
우리 나라는 가족 혹은 친척들 사이의 관계를 촌수라는 단위로 표현하는 독특한 문화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촌수는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계산된다. 기본적으로 부모와 자식 사이를 1촌으로 정의하고 이로부터 사람들 간의 촌수를 계산한다. 예를 들면 나와 아버지, 아버지와 할아버지는 각각 1촌으로 나와 할아버지는 2촌이 되고, 아버지 형제들과 할아버지는 1촌, 나와 아버지 형제들과는 3촌이 된다.
여러 사람들에 대한 부모 자식들 간의 관계가 주어졌을 때, 주어진 두 사람의 촌수를 계산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사람들은 1, 2, 3, …, n (1≤n≤100)의 연속된 번호로 각각 표시된다. 입력 파일의 첫째 줄에는 전체 사람의 수 n이 주어지고, 둘째 줄에는 촌수를 계산해야 하는 서로 다른 두 사람의 번호가 주어진다. 그리고 셋째 줄에는 부모 자식들 간의 관계의 개수 m이 주어진다. 넷째 줄부터는 부모 자식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두 번호 x,y가 각 줄에 나온다. 이때 앞에 나오는 번호 x는 뒤에 나오는 정수 y의 부모 번호를 나타낸다.
각 사람의 부모는 최대 한 명만 주어진다.
출력
입력에서 요구한 두 사람의 촌수를 나타내는 정수를 출력한다. 어떤 경우에는 두 사람의 친척 관계가 전혀 없어 촌수를 계산할 수 없을 때가 있다. 이때에는 -1을 출력해야 한다.
코드
//2644 촌수계산
#include <iostream>
#include <vector>
#include <queue>
#include <utility>
using namespace std;
int n, A, B, m;
vector<int> family[101];
int dist[101] = { 0, };
void BFS() {
queue<int> q;
q.push(A);
dist[A] = 0;
while (!q.empty()) {
int next = q.front();
if (next == B) {
cout << dist[B] << "\n";
return;
}
for (int i = 0; i < family[next].size(); i++) {
if (!dist[family[next][i]]) {
q.push(family[next][i]);
dist[family[next][i]] = dist[next] + 1;
}
}
q.pop();
}
cout << "-1\n";
}
int main() {
ios_base::sync_with_stdio(false);
cin.tie(NULL);
cout.tie(NULL);
cin >> n;
cin >> A >> B;
cin >> m;
for (int i = 0; i < m; i++) {
int x, y;
cin >> x >> y;
family[x].push_back(y);
family[y].push_back(x);
}
BFS();
return 0;
}
설명
넓이 우선 탐색 BFS는 최단거리를 찾을 수 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촌수를 계산하는 문제이므로 BFS를 사용해서 촌수를 계산한다.
family 벡터에 부모 자식간의 관계를 나타낼 수 있다.
dist는 A와 거리를 나타낸다. queue에 A를 push하고 queue가 비었거나 B를 찾으면 종료한다.
결과
고찰
오랜만에 푼 BFS 문제라서 시간이 좀 걸렸다.
A에서부터 거리를 배열 dist에 저장하여 거리를 구할 수 있었다.
난이도
S2
'알고리즘 > 백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알고리즘(C++) / 백준 5014 : 스타트링크 (0) | 2021.06.22 |
---|---|
알고리즘(C++) / 백준 1012 : 유기농 배추 (0) | 2021.06.21 |
알고리즘(C++) / 백준 2089 : -2진수 (0) | 2021.05.17 |
알고리즘(C++) / 백준 2606 : 바이러스 (0) | 2021.05.16 |
알고리즘(C++) / 백준 1697 : 숨바꼭질 (0) | 2021.05.16 |
댓글